-
목차
반응형연말정산 꿀팁!! 소득공제 vs 세액공제
12월의 마지막날이 지나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. 연말정산, 모두들 어떻게 준비하셨나요??연말정산 세금을 조금이라도 절약하고 싶은 마음, 누구나 같을 것 같습니다. 현명한 부자들은 죽음과
blog2.gorani-1.com
매년 새해가 되면 13번째 월급을 기대하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. 반대로 혹시나 내가 세금을 더 내야 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신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. 저는 저축률을 높이고 있는 싱글이라 혹시나 세금을 더 내야 하는 것은 아닌지 항상 걱정합니다. 그래서 절세 방법으로 연금저축계좌를 2024년 뒤늦게 개설하기도 했습니다. 조금 더 일찍 절세와 노후준비를 했으면 좋았을 텐데.... 하는 아쉬움과 함께 말이죠.
이번 포스팅 에서는 연말정산 대체 어떻게 계산을 해야 13번째 월급을 받는지, 토해내야 하는지 대략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게 연말정산 세액계산방법에 대한 설명을 간단하게 해보려 합니다.
직장인인 저는 근로소득에 관해 설명 해보려 합니다. 직장인 분들만 참고해서 봐주세요^^
1. 원천징수 란?
쉽게 말해 내가 직장에서 근무하면서, 1년동안 내야 할 세금을 매달 월급에서 미리 납입을 하는 것입니다. 물론 내가 직접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직장에서 대신하여해 줍니다. 다만, 이 금액이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연말정산을 통해, 내가 세금을 더 많이 납부했다면 돌려받는 것이고, 소득에 비해 덜 냈다면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것입니다.
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당연히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.
2. 연말정산 세액계산방법
단계 결과 계산방법 1단계 총급여액 연간 근로소득 - 비과세 소득 2단계 근로소득금액 총급여액 - 근로소득 공제 3단계 차감소득금액 근로소득금액 - (①+②+③)
① 인적공제(기본공제, 추가공제)
② 연금보험료공제(공적연금의 근로자 부담금)
③ 특별소득공제4단계 과세표준 차감소득금액 - 그 밖의 소득공제 + 소득공제 종합한도추과액 5단계 산출세액 과세표준에 기본세율을 적용하여 계산 6단계 결정세액 산출세액 - 세액감면 - 세액공제 7단계 차감납부, 환급세액 결정세액 - 기납부세액 - 납부특례세액 위와 같은 단계로 결정됩니다. 기본적으로 직장에서 매달 받는 급여상세명세서를 보셔야 확인 가능합니다. 통장에 찍히는 액수도 중요하지만, 매달 내가 세금을 얼마큼 납부하고 있는지, 상세명세서를 꼭 따로 보관하셔서 확인해 보시면 좋습니다.
연말정산 세액 공제의 핵심 13번째 월급 - 개인 연금저축 계좌 만드는 방법.
연말정산 세액 공제의 핵심 13번째 월급 - 개인 연금저축 계좌 만드는 방법.
연말이 다가오면 많은 사람들이 연말정산을 준비합니다. 연말정산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13번째 월급이 될 수도,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습니다. 오늘은 가장 쉽고, 간단하게, 미래의 노
blog2.gorani-1.com
반응형'재테크,경제,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말정산 꿀팁!!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(0) 2025.01.01 연금저축계좌 운용사별 수수료 비교분석 (0) 2024.12.17 연말정산 세액 공제의 핵심 13번째 월급 - 개인 연금저축 계좌 만드는 방법. (2) 2024.12.15